“은행별 직급별 연봉” 정보를 정리해드릴게요.
(2025년 현재 기준, 주요 시중은행 + 주요 인터넷은행 중심으로, 평균값 및 대략 범위로 알려드릴게요.)
※ 연봉은 기본급 + 고정성과급 기준이며, 인센티브(PS, 성과급) 포함시 차이가 큽니다.
주요 시중은행 (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)
신입 (행원)
국민 4,200만 ~ 4,500만
신한 4,200만 ~ 4,500만
우리 4,100만 ~ 4,400만
하나 4,100만 ~ 4,400만
비고 : 기본급 기준, 입사 1~2년차
대리 (~5년)
국민 5,000만 ~ 5,500만
신한 5,000만 ~ 5,500만
우리 4,800만 ~ 5,400만
하나 4,800만 ~ 5,400만
과장 (~10년)
국민 6,000만 ~ 7,000만
신한 6,000만 ~ 7,000만
우리 5,800만 ~ 6,800만
하나 5,800만 ~ 6,800만
차장 (~15년)
국민 8,000만 ~ 9,000만
신한 8,000만 ~ 9,000만
우리 7,500만 ~ 8,500만
하나 7,500만 ~ 8,500만
부장급 (~20년)
국민 1억 ~ 1.2억
신한 1억 ~ 1.2억
우리 9,500만 ~ 1.1억
하나 9,500만 ~ 1.1억
2. 주요 인터넷은행 (카카오뱅크, 케이뱅크, 토스뱅크)

3. 요약 포인트
• 시중은행은 “호봉, 근속”이 중요. 연차 쌓일수록 급여가 올라감.
• 인터넷은행은 “성과, 직무”가 더 중요. 같은 직급이라도 개인차 큼.
• 토스뱅크는 기본급 자체가 높고, 성과급도 압도적 (스타트업 스타일).
• 부서별(본부/영업/IT 등)과 개인 성과에 따라 10~30% 이상 차이 나기도 함.
⸻
추가로
• 각 은행의 “성과급(PS)“은 따로 지급되는데,
보통 50% ~ 300% (연봉의) 추가 지급되기도 해요.
예를 들면 5천만 기본급이면, 성과급으로 2천만 ~ 1억+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.
• 요즘은 개인성과(PM) 가점/감점제가 확대돼서, 단순 직급보다 실적이 중요해지는 추세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