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산 산업으로 유명한 국가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며, 각 국가는 특정 자원에 특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 아래에 주요 국가들과 그들이 특화된 광산 분야를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:
⸻
1. 중국 (China)
특화 분야: 희토류, 석탄, 텅스텐, 안티모니, 금
• 희토류 (Rare Earth Elements): 세계 생산량의 60% 이상을 차지 (과거에는 90% 이상).
• 석탄: 세계 최대 생산국이자 소비국.
• 금속 자원: 텅스텐, 안티모니 등의 희귀 금속 생산 1위.
⸻
2. 호주 (Australia)
특화 분야: 철광석, 보크사이트, 리튬, 석탄, 금
• 철광석: 세계 최대 수출국. 주로 서호주(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) 지역에 집중.
• 보크사이트 (알루미늄 원광): 세계 1위 생산국.
• 리튬: 전기차 배터리 원료로 주목받는 자원. 세계 상위권.
• 금: 생산량 기준 세계 2~3위.
⸻
3. 러시아 (Russia)
특화 분야: 석탄, 니켈, 팔라듐, 다이아몬드, 천연가스 관련 광물
• 다이아몬드: 세계 최대 생산국 (알로사(Alrosa) 국영기업이 주도).
• 팔라듐 & 니켈: 러시아의 노릴스크 지역은 세계 최대 니켈광산 보유.
• 금: 상위권 생산국.
⸻
4. 남아프리카공화국 (South Africa)
특화 분야: 플래티넘, 크롬, 금, 다이아몬드
• 플래티넘 그룹 금속 (PGMs): 세계 최대 생산국.
• 금: 과거 세계 1위였으나 생산량은 다소 감소.
• 크롬: 세계 최대 생산국 중 하나.
⸻
5. 칠레 (Chile)
특화 분야: 구리, 리튬
• 구리: 세계 최대 생산국. 안데스 산맥 인근의 거대 노천광산 (예: 에스콘디다 광산).
• 리튬: 염호(Salar de Atacama)에서 생산, 세계 2위권.
⸻
6. 페루 (Peru)
특화 분야: 은, 구리, 아연
• 은: 세계 2위 생산국.
• 구리: 생산량 기준 세계 2~3위.
• 아연: 주요 수출품 중 하나.
⸻
7. 미국 (USA)
특화 분야: 석탄, 구리, 금, 몰리브덴, 희토류
• 금: 네바다 주 중심으로 세계 4위 생산국.
• 몰리브덴: 산업용 금속으로 미국이 주요 생산국.
• 희토류: 마운틴 패스 광산에서 재생산 시작 (중국 의존도 감소 목적).
⸻
8. 인도네시아
특화 분야: 니켈, 주석, 금, 석탄
• 니켈: 배터리 및 스테인리스 산업에서 중요한 원료. 세계 최대 생산국 중 하나.
• 주석: 주요 수출품.
• 석탄: 동남아 최대 석탄 수출국.
⸻
9. 캐나다
특화 분야: 금, 니켈, 우라늄, 포타쉬(칼륨염), 구리
• 우라늄: 세계 2위권 (사스카치완 주 중심).
• 니켈: 온타리오 주 중심.
• 포타쉬: 비료 원료로, 세계 최대 보유량.
⸻
10. 콩고민주공화국 (DRC)
특화 분야: 코발트, 구리, 콜탄
• 코발트: 전 세계 매장량 및 생산량 1위. 전기차 배터리 필수 소재.
• 콜탄 (Coltan): 탄탈륨 원료. IT기기에서 필수 자원.
⸻
참고 정보
• 광산 산업은 경제 의존도가 높은 국가도 많음: 칠레, DRC, 페루 등은 광물 수출이 GDP에서 큰 비중을 차지.
• 환경 & 정치 리스크: 많은 광산 국가에서 환경 오염, 노동 조건, 정치적 불안정성 등의 문제가 있음.
(투자/정보) 광산 산업 국가 순위 및 특화분야 알아보기
2025. 4. 11. 00:01
반응형
반응형